어학(일본어)

히라가나의 표기와 카타카나의 표기

원story 2024. 3. 5. 15:20

1981(쇼와56)년 내각고시에 의한 [현대가나사용법]에 의하면 현대어의 음운에 따라 쓰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한편, 특정어에 대해서는 표기의 습관을 존중하도록 하고 있다. 일본어교육의 관점에서 아래와 같은 항목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히라가나는 하나의 문자로 하나의 박자 또는 하나의 모라의 음을 표기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 현대일본어의 음절은 원칙으로서 개음절이고 모음만, 또는 자음과 모음의 구조를 가지고 각각이 박자 또는 모라로서 가나 한 글자로 표기된다. 

요음은 작은 [ゃ,ゅ,ょ]와 합쳐져서 두글자로 표기된다.

 

몽므이 장음으로서 발성을 늘려 2박의 개음절의 구조로 보여지는 경우는 [ああ,いい,うう,ええ,おお]로 모음의 두글자로 표기되지만, 그 외에 え와 お의 장음은 (단어에 따라서는)   えい ,おう로 표기되어 실제발음과 표기가 다르다.

 

폐음절 중에서 미자음으로서 일어나는 자음은 기본적으로 발음과 촉음뿐이다. 각각 발음은 ん, 촉음은 작은っ의 한글자로 표기된다.

 

오쿠리가나는 한자가나섞인문장에서 한자의 읽기를 정하기 위해 동사, 형용사의 활용형 등을 나타낼 때에 규칙에 따라 한자 뒤에 붙여서 사용된다. 조사의  [は,へ,を]는 각각 は는わ, へ는え, を는 お와 같은 음이다.

 

동사, 접속사는 기본적으로 히라가나로 표기되지만, [必ず], [従って]처럼 한자에 오쿠리가나를 붙이는 경우도 있다.

 

후리가나는 한자의 뒤에 괄호쓰기로 나타내는 경우가 통상적이지만 세로쓰기의 경우는 한자와 외국의 말의 오른쪽에 가로쓰기의 경우는 위에 붙여서 읽기를 나타낸다. 일본어교육의 교재에서는 의도적으로 아래에 붙이는 경우도 있다. 또한 인쇄한 것의 후리가나는 특히 [루비]라고 불린다. 일본어교육의 교과서에는 루비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카타카나로 표기되는 말

일본어 중에서 카타카나로 표기되는 것에는 외래서, 일본제 외국어, 외국어의 발음, 외국제일본어, 혼종어 외에 의성어, 의태어, 학술전문어, 동식물명 등 다양한 일본어와 한자어가 있다.

 

더욱이 감동사, 종조사, 후리가나, 방언, 외국인의 일본어발음, 은어, 속어, 인명, 국명, 지명, 기과시설명, 상용한자의 제1의미가 아닌 단어(책의 오비), 한자로 표기하면 알기어려운 단어, 표기자가 특별한 의도를 가미한 단어 등의 용법도 있다.

 

이러한 카타카나표기는 생생한 교재로 많이 나타나기 때문에 일본어 교육에 있어서도 중급이상에서는 언급되어야할 것이다.

 

카타카나 표기의 유의점

카타카나표기가 히라가나표기와 다른 점은 장음의 표기이다. 가로쓰기의 경우는 - , 세로쓰기의 경우는 ㅣ를 사용한다. 또 카타카나의 표기에는 [ウィ, クァ, ツェ, ティ, フォ, デュ, ヴェ]처럼 하라가나에는 없는 것도 존재한다. 

コンピュータ나 コンピューター라는 표기의 혼동도 문제가 된다. 분야게 따라서, 시대에 따라서 또는 표기자의 취향에 따라서 표기방법이 다르다. 일본어교육의 현장에서는 그 시점에 있어서 할 수 있는 한 일반적인 표기를 가르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인 표기는 신문이나 용어사전류 등을 참조하면 좋다.

 

외래어에서는 パソコン등의 축약형이 많고 일본인에게 익숙한 3음절, 4음절로 되는 경우가 많다. 문장어로도 원형으로 돌아가지 않고 그대로 표기되는 경우가 많다. 

 

일본어교육상의 유의점

외래어의 대부분이 영어를 원어로 하고 있어서 학습자가 영어이해자인 경우는 영어에서의 표기원칙(외래어표기의 원칙)을 가르쳐 두면 어느 정도 응용이 된다. 단, 카타카나로 표기되는 단어는 출처가 외래어라도 일본어이고 발음이나 의미가 문장 속에서 사용되는 방법은 모두 일본어의 룰에 따르는 것도 의식시키는 것이 일본어학습자가 정신적으로 받으들이는데도 도움이 된다고 생각된다.